일시 | 북한 북핵・미사일 실험・발사 | 일시 | 유엔 안보리 제재 조치 및 결의 |
1993.3.12 |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 | 1993.5.11 | 북 NPT 탈퇴 선언 재고를 촉구하는 결의 825호 만장일치 채택. 유엔 안보리의 북핵・미사일 관련 첫 결의. |
2006.7.5 | 장거리 로켓 대포동2호 발사 | 2006.7.15 | 북한 도발을 규탄하면서 미사일 관련 물자・상품・기술・재원의 북한 이전 금지를 유엔 회원국에 요구하는 권고적 성격의 결의 1695호 만장일치 채택 |
2006.10.9 | 제1차 핵실험 강행 | 2006.10.14 | 북한 핵실험을 규탄하고 대북제재 이행과 제재위원회 구성을 결정한 결의 1718호 만장일치 채택 |
2009.4.5 | ‘광명성 2호’ 발사 | 2009.4.13 | 북한 행위 규탄하는 의장성명 발표 |
2009.5.25 | 제2차 핵실험 강행 | 2009.6.12 | 북한 핵실험을 '가장 강력하게 규탄'하고 전문가 패널 구성 등 강경한 제재를 담은 결의 1874호 만장일치 채택 |
2012.4.13 | 장거리 로켓 은하3호 발사 | 2012.4.16 | 북한 로켓 발사를 규탄하는 내용이ㅡ 의장성명 채택 |
2012.12.12 | 장거리 로켓 은하3호 2호기 발사 | 2013.1.22 | 로켓 발사를 규탄하고 기관 6곳・개인 4명 추가해 대북 제재대상을 확대・강화한 결의 2087호 만장일치 채택 |
2013.2.12 | 3차 핵실험 강행 | 2013.3.7 | '핵ㆍ탄도미사일 개발과 관련된 것으로 의심되는 북한의 금융거래 금지'를 골자로 한 결의 2094호 채택 |
2016.1.6 | 4차 핵실험. ‘첫 수소탄 시험 성공’ 주장 | 2016.1.6 | 북한 핵실험 규탄 언론성명 발표. ‘중대한 추가 제재’ 결의 예고 |
2016.2.7 | 장거리 로켓(미사일) ‘광명성호’ 발사 | 2016.2.7 | 긴급회의에서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 규탄하는 성명 발표하고, ‘중대한 조치’ 조속 채택 합의 |
| | 2016.3.2 |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라 북한 화물 검색 의무화, 육・해・공 운송 통제, 북한 광물거래 금지・차단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역대 최강' 수위의 제재결의 2270호 채택. |
2016.3.17 | 탄도미사일 2발 동해상 발사 | 2016.3.18 | 북한 규탁 언론성명 채택 |
2016.4.23 | 동해에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발사 | 2016.4.24 | 북한 규탄 언론성명 채택 |
| | 2016.6.1 | 북한의 4-5월 탄도미사일 발사 비난하는 언론성명 채택 |
2016.6.22 | 중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 첫 미사일은 공종폭발. 두 번째 미사일은 400km 비행 | 2016.6.23 | 북한 탄도미사일 발시 비난하는 언론성명 발표 |
| | 2016.8.26 | 7∼8월 실시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4건을 비난하는 언론성명 채택. '추가적인 중대조치' 예고 |
2016.9.5 | ‘노동’ 추정 준중거리 탄도미사일 3발 동해상 발사 | 2016.9.6 |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규탄 언론성명 채택 |
2016.9.9 | 5차 핵실험 강행 | 2016.9.9 | 긴급회의 후 북한 5차 핵실험 규탄하는 언론성명 발표. 추가 제재가 들어간 새로운 대북제재 채택 예고 |
2016.10.15 | 무수단으로 추정되는 중거리미사일 1발 발사. 발사 직후 폭발 | 2016.10.17 | '무수단 중거리미사일' 발사 규탄하는 언론성명 발표. '중대한 추가 조치' 경고 |
| | 2016.11.30 | 안보리, 북한 5차 핵실험에 대한 대북제재결의 2321호 채택. 북한 석탄수출 상한 도입 등 대북제재 2270호를 보완 |
2017.6.2 | 북한 기관 4곳・개인 14명 추가 제재를 담은 결의 2356호 만장일치 채택. |
2017.8.26 | 북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한 대북제재결의 2371호 채택. 북한의 주력 수출품 석탄을 비롯해 철・철광석 등 주요 광물과 수산물 수출 전면 금지, 신규 해외 노동자 송출 중단 |
2017.8.26 | 강원도 깃대령 일대에서 단거리 발사체 3발 발사 | | |
2017.8.29 | 평양시 순안 일대에서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1발 발사 |
2017.9.3 | 제6차 핵실험 강행. 북한 핵무기연구소 "ICBM 장착용 수소탄 시험 완전 성공" 주장 | 2017.9.11 | 안보리, 북한의 제6차 핵실험에 대응한 대북제재 결의 2375호를 만장일치로 채택. 대북 석유제품은 연 200만 배럴로 제한하는 등 유류공급 30%가량 차단. 북한의 외화 수입원인 섬유제품 수출 전면 금지 |
2017.9.14 |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발사 | 2017.9.15 |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규탄 언론성명 채택 |
2017.11.29 |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 발사 | 2017.12.22 | 북한의 ICBM급 '화성-15형' 발사에 대응한 대북제재 결의 2397호를 채택. 정유제품의 공급량은 연간 200만 배럴에서 50만 배럴로 감축. 원유 공급량 현행 수준으로 알려진 '연간 400만 배럴' 상한선 설정. 해외파견 북한 노동자의 24개월 이내 귀환 조치 |
| | 2018.3.21 | 2019년 4월 24일까지 결의 1718호의 적용 연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