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위 등 신규 위해 새로이 필요하게 되는 소방안전대책
전자개폐기 접점고착에 의해 개방불능으로 한다. (멀티 아울렛기에서 출력커넥터 전환용 전자접촉기) (충전 케이블이 2개 이상 있는 경우) 출력전환용 접점에 이상이 생겼을 때는 설비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조치를 강구할 것
충전커넥터∼EV • 낙하에 의해 커넥터가 파손되어 충전이 되지 않는다.• 낙하에 의해 커넥터가 파손되어 감전된다. 충전 케이블이 출력 50kW 이하의 것보다 굵고 무거워지는 것에 대해서는 충전 커넥터에 낙하 방지 등의 조치를 강구할 것
단외출력케이블 충전 케이블이 굵고 무거워짐에 따라, 다루기가 어려워져 발에 떨어뜨려 상처를 입는다.
단외출력케이블 액냉 케이블이 경년(経年) 열화나 외력에 의해 손상되어, 액 누출에 의해 감전된다. • 충전 케이블에서 액냉방식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유량 또는 온도의 이상을 검지(検知)한 경우에는, 설비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등의 조치를 강구할 것• 충전 케이블에서 액냉방식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누출된 냉각액이 내부기판 등의 기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조로 할 것
액냉장치 • 액 누출에 의해 내부 기판이 손상된다.• 액 누출에 의해 충전 케이블이 과열되어 화상을 입는다.
사람의 실수 (ヒューマンエラー) 액 누출에 의해 충전 커넥터가 젖은 상태에서 충전 조작하여 감전된다.
기기본체 외부화재에 의해 장시간 고온에 노출된다(外部火災により長時間高温曝露する) 옥외에 설치한 경우는, 건축물로부터 3m 이상의 이격거리를 둘 것. 다만, 아래 중 하나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설치하는 급속충전설비가 아래의 조건을 만족시킬 것 • 함체는 불연 금속재료로 두께가 스테인리스 강판에서 2.0mm 이상 또는 강판에서 2.3mm 이상이어야 한다. • 안전장치(누전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을 것 • 함체의 부피 1㎥에 대한 내장가연물량이 약 122kg/㎥이하일 것 • 축전지설비가 내장되어 있지 않을 것 • 태양광 발전설비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것2. 상기 1에 의하지 않는 급속충전설비는 연소실험을 실시하고, 완화하고자 하는 거리에서의 열류속가(熱流束値)가 10kW/㎡이하여야 한다.